중국의 철도는 그 길이가 52,000km로 지구를 일주하고도 남는다. 여행시간은 비행기보다 많이
걸리지만 비용 면에서 저렴하고 침대 칸은 장거리 여행시 숙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행기와 마찬가지로 전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사전 예약이
곤란하여 기차매표소 창구에는 언제나 표를 구입하려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매표소는 좌석 종류별로 창구가 구분되어 있으며 전용창구가 있는 좌석도 있으니 미리 확인하면 좋다.
(대합실도 좌석 종류에 따라 다르다.) 매표구는 일반 창구와 특별창구로 구분된다. 특별 창구는
여행객들이 많은 명절(예를 들면 음력설, 노동절, 국경절)때 개설하며, 군인창구, 학생창구,
노인창구, 장애자창구, 민궁(民工)단체창구, 임시열차창구(10일전의 표 예매가능), 특별지역창구(여행객들이
많은 목적지)등 이 있다. 자동판매기도 있지만 큰 도시에만 있고 수량이 적은 편이다. 음력 설
때 표 구입이 가장 힘든 기간이며 이 기간의 전중국 열차표 판매량은 17.9억장 정도이다. 대합실은
일반 대합실과 루완쭈어 및 루완워대합실이 있다. 4일전에 예매할 수 있는데 임시열차는 10일전에
예매할 수 있다. (즈퉁츠어와 임시열차는 제외)
표를 구입 할 때는 서툰 중국어로 해서 낭패를 당하기보단 종이에 행선지, 좌석의 종류, 매수,
날짜 등을 기입해서 건네주는 편이 낫다. 중국인의 이용이 많은 열차의 경우 외국인이 표를 사기는
아주 어렵기 때문에 메모지를 이용하는 쪽이 편안한 여행을 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중국국제여행사 사무소나 대형호텔 내의 여행사에서 수수료를 지불하고 구입하는 편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 하겠다. (단 북경은 저희 사무실에서도 도움을 드립니다.)

- 터쿠와이(特快)
표값이 비싼 편이고 정해진 좌석수에 따라 판매하기 때문에 승객들이 적은 편이다. 따라서 외국인
여행객들이 많이 이용한다. 주로 북경과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데, 러시아, 평양, 베트남,
몽고를 연결하는 국제열차도 있다. 터콰이는 속도가 빠르고 각종 시설이 완벽하며 고급스럽다.
장거리 여행객들이 많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좌석이 있으며 식당차도 연결되어 있다. 번호는
T1~998 이다.
- 즈퉁처(直通車)
2004년 4월 18일부터 개설한 열차로서 도중에 멈추지 않고 직접 목적지까지 가는 기차이다.
중국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속도가 빠르고 각 종 시설이 완벽하고 고급스럽다. 표는 180일전에
예약하고 20일전에 구입할 수 있다. 번호는 Z1~86 이다.
- 즈쿠와이(直快)
급행열차로 시설은 썩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중국 현지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열차다. 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열차가 많아서 시간별로 선택할 수 있다. 번호는 K1~998 이다.
- 푸쿠와이 (普快)
가장 일반적인 열차로 단거리 운행을 주로 하며 시설이 열악하다(에어컨 없음). 일반 여행객들은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속도가 느리고 정차역이 많아 이동시간이 길다. 번호는 1001~5998
이다.
- 만처(慢車)
단거리 운행을 주로 하며 속도, 시설 등 방면에서 제일 낙후 된 기차이다.
번호는 6001~8998 이다.
- 임시여객열차 및 임시여행열차
명절이나 여행객들이 많을 때 추가하는 열차로서 즈쿠와이와 동일한 등급이며 차이점은 10일전에
표를 구입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번호는 L1~998(임시여객열차), Y1~998(임시여행열차)이다.

한국과 달리 좌석 칸이 구분되어 있으며 좌석에 따라 가격이 틀리다.
- 잉쭈오 (硬座)
등받이 고정 식의 가장 일반적인 의자 좌석으로 가격이 저렴한 대신 예약은 할 수 없다. 한
좌석에 2명 혹은 3명이 앉아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여 짧은 구간에 주로 배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점차로 없어지는 추세다. 일반 승객들이 많이 선택한다.
- 누완쭈오 (軟座)
좌석과 등받이가 부드럽다는 것과 좌석이 미리 지정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잉쭈오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낮에 운행하는 단거리 기차에만 있는 좌석으로 모든 기차에 있는 것은 아니다.
- 잉워 (硬臥)
칸막이는 없고 보통 6인 1실이라 불리는 3층짜리 침대칸이다. 가격은 아래칸일수록 비싸고
장거리 이용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좌석이므로 미리 예약하는 것이 좋다. 탑승하면 차표를 승무원이
회수하고 좌석번호가 적힌 카드를 준다. 이는 승차권 분실을 막고 나중에 다시 돌려주므로 내릴
곳을 지나칠 염려는 없다.
- 루완워 (軟臥)
유럽식 열차처럼 4인 1실의 침대 좌석이다. 보통 ‘잉워’의 2배 이상의 가격이므로 중국
상류층이나 외국인들이 주로 이용한다. 루완워 또한 탑승하면 차표를 승무원이 회수하고 좌석번호가
적힌 카드를 준다. 이는 승차권 분실을 막고 나중에 다시 돌려주므로 내릴 곳을 지나칠 염려는
없다.
참고 : 중국기차표 예매
- 장거리 버스(長途汽車)
장거리 버스를 이용하면 어디든지 갈 수는 있지만, 외국인 여행자가 자유롭게 갈 수 있는 개방도시(약
100여 개) 이외에 여행 허가증이 필요한 도시와 출입을 금지하는 도시도 있으므로 여행에
장거리 버스를 이용하려면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기차에 비하면 표를 구입하기는 쉬우나 승객이 모두 차지 않으면 출발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도착시간이 지연되는 경우도 많다. 지정 좌석이 없으므로 탑승에 유의한다.
- 시내버스(公用汽車)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요금은 기본정기 시내버스인 경우 구간에 관계
없이 1元인 경우가 많으며 좌석버스 같은 경우 승차할 때 안내원에게 목적지를 말하고 지불하면
된다. 표지판에 현 위치의 정류장 명칭 및 노선별 목적지까지 상세히 쓰여 있어 이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
- 택시(出租汽車)
어느 나라에서나 외국인에게 바가지 요금은 있는 법이다. 바가지 요금을 방지하려면 중국 현지인에게
대강의 요금을 물어보고 타는 것이 좋으며, 택시기사에게 노선을 미리 얘기하는 것이 좋다.
중국 길을 잘 모를 경우 호텔 앞에서 타는 것이 공항이나 터미널에서 타는 것보다 낫다. 호텔
앞에서 도어맨들에게 부탁을 할 경우 아주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택시 요금은 뒤차 문에 빨간 바탕에 흰 숫자로 1.2 혹 1.6 이렇게 적혀 있으면
1Km에 1.2元 혹 1.6元 란 뜻이며 기본 요금은 지역마다 다르고 현재 북경은 10元이
기본 요금이다.
- 지하철
기본요금은 3元이며 구간이 길어지면 더 비싸진다. 갈아타게 되면 표의 일부분을 찢어주고 그
표를 소지하여야 하고, 미리 갈아타는 표를 구입해야 한다
현재 지하철이 운영되고 있는 도시는 북경, 상해, 심천, 광주이고, 최근에 일부가 완공되어
운영하는 도시는 남경, 건설 중인 도시는 천진, 대련, 무한, 중경, 장춘, 건설을 희망하는
도시는 성도, 항주, 심양, 서안, 하얼빈, 청도, 소주 등이다.

- 소개
현재 1호선, 2호선, 13호선, 巴通?이 있으며 총 길이는114km, 70개 역이다. 1호선의
길이는 31.04km, 23개역이고, 2호선의 길이는 23.61km, 18개 역이고, 13호선의
길이는 40.85km, 16개 역이며 巴通?(파퉁시엔)의 길이는 18.9km, 13개 역이
있다. 북경 지하철의 하루 운송량은 150만 정도이다.
- 가격
* 1호선: 3원
* 2호선: 3원
* 13호선: 3원
* 巴通?:2원
* 설명: ㄱ. 1호선과 2호선은 표를 따로 살 필요 없다.
ㄴ. 巴通?과 1호선을 모두 이용하려면 4원짜리 표를 사면 된다.
ㄷ. 1, 2호선과 13호선을 모두 이용하려면 5원짜리 표를 사면 된다.
- 지하철 분포도 : 지하철
노선표 보기

- 소개
1호선, 2호선, 명주선(3호선)이 있으며 1호선의 길이는 20.969km, 2호선의 길이는
57km, 명주선의 길이는 24.97km이다.
- 가격
* 1호선과 2호선 : 요금은 0~6km는 2원(3개역), 6~16km는 3원, 16km 이상이면 6km에 1원씩
추가된다.
최고 요금은 6원이다.
* 명주선 : 기본요금은 2원(9개역)이며 9개역 이상이면 3원이다.
- 지하철 분포도 : 지하철 노선표 보기
|